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칵테일 서비스에 새롭게 변경된 UI가 적용 되었습니다.
Nginx Ingress Controller 애드온 1.11.1 버전이 추가 되었습니다.
새로운 빌드 Task가 추가되었습니다.
빌드 시 NCloud의 Object Storage에 파일을 Upload 및 Download 할 수 있습니다.
빌드 시 SonarQube Scanner를 연동하여 정적 검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유효하지 않은 복원 지점, 복원 이력 (저장소의 버킷 삭제 등)을 강제 삭제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칵테일에서 관리할 수 있는 Secret의 제한이 해제되어, 사용자 정의를 포함한 모든 Secret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백업 저장소가 삭제된 경우에 복원 지점, 복원 이력 화면에 표시되는 로그와 경고/에러등의 문구를 개선하였습니다.
빌드에서 사용자 정의 Task가 실패했을때 간헐적으로 다음 Task로 넘어가지 않던 문제가 수정 되었습니다.
백업 저장소가 삭제된 경우에 복원 지점, 복원 이력 화면에 표시되는 로그와 경고/에러등의 문구를 개선하였습니다.
백업에 새로운 복원 지점을 생성하였을 때 이전 복원 지점의 작업 시간이 잘 못 표시되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백업한 원본 클러스터가 제거되면 동기화 클러스터의 백업 용량이 0Byte로 표시되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STOPPED 상태의 클러스터 삭제시 간헐적으로 삭제가 되지 않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파드 목록에서 파드 삭제시 간헐적으로 삭제가 되지 않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모니터링 > 인그레스 메뉴에서 인그레스 컨트롤러별 메트릭 조회가 되지 않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대시보드에서 새로고침 시 클러스터,노드,파드 정보를 표시하는 파이차트를 갱신하지 못하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워크로드 상세 화면에 Alarm 설정 및 확인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워크로드 상세 화면의 모니터링 탭 옆에 새롭게 추가된 "알람" 탭에서 추가된 기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워크로드에 설정된 Alarm에 대해서 확인 및 ON/OFF 설정등이 가능합니다.
워크로드에서 발생한 Alarm 발생 이력 확인이 가능합니다.
모니터링 기능의 사용성을 개선하고 기능을 추가하였습니다.
모니터링 화면에서 시계열 차트를 팝업 오픈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기능이 추가 되었습니다.
모니터링 데이터를 엑셀 파일로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기능이 추가 되었습니다.
모니터링 메뉴의 모든 SelectBox에서 검색이 가능하도록 개선되었습니다.
백업/복원 > 볼륨 복제 화면에서 진행 상태별 로그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개선 되었습니다.
페이지 단위로만 동작하던 리스트 정렬 기능이 전체 데이터를 기준으로 처리되도록 수정되었습니다.
Filter 검색 기능의 위치가 우상단으로 이동 되었으며, 더 많은 컬럼을 대상으로 Filter가 동작하도록 수정되었습니다.
LimitRange 생성/수정시에 이름의 유효성 검사 기능이 수정되었습니다.
볼륨 복제 수정중 삭제 버튼 클릭시 확인 창이 2번 노출되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백업/복원 > 저장소 상세 정보 수정이 완료된 후에도 편집 화면이 유지되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백업/복원 > 복원지점, 복원이력 목록의 체크박스가 특정한 경우에 한하여 Disabled 상태에서도 체크 되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Application 목록을 관리하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서버 인스턴스 목록을 관리하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APM 실시간 분석 기능으로 어플리케이션의 Request, Error, Duration 정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APM 트렌드 분석 기능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및 자원사용량 추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APM Trace 기능으로 개별 트랜잭션의 흐름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서버 인스턴스 모니터링 기능으로 외부 자원 및 인프라의 성능 및 상태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복잡한 데이터를 단순화하여 사용자가 빠르게 문제를 식별할 수 있도록 직관성이 강화된 HoneyComb View 형태의 네임스페이스 대시보드를 제공합니다.
네임스페이스 대시보드에서 문제를 감지한 후 해당 셀을 클릭하여 워크로드로 드릴다운하고 상세 분석이 가능합니다.
Cocktail Cloud의 UI / UX를 개선하였습니다.
날카로운 모서리 대신 둥근 형태와 그라데이션을 사용하는 Soft UI를 적용하였습니다.
모니터링 기능에 대한 툴팁 설명을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교체 하였습니다.
모니터링 화면의 가시성 개선을 위해 컴포넌트를 재 배치하고, 폰트 크기등을 조정하였습니다.
불필요한 모니터링 컴포넌트를 제거하고 파일 시스템 모니터링과 같이 불편했던 기능들을 개선하였습니다.
시계열 모니터링 데이터를 팝업 레이어로 오픈하고, 확대 / 축소하여 트래킹 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습니다.
모니터링 메트릭을 조회하고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새로운 백업 저장소 프로바이더를 추가 하였습니다. ( 네이버 오브젝트 스토리지 )
Cocktail Open API에 GPU 모니터링 정보를 조회하는 API가 추가되었습니다.
백업저장소에 백업된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해당 데이터를 유지한 상태로 저장소를 삭제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습니다.
백업저장소 프로바이더로 네이버 오브젝트 스토리지가 추가되었습니다.
Sonar Scanner 빌드 태스크가 추가되었습니다. 이제부터 Java 빌드시 설치된 SonarQube를 연동하여 정적 분석을 수행하는 태스크를 빌드 프로세스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빌드 구성 > "컨테이너 레지스트리" 메뉴가 "빌드 프로젝트"로 이름이 변경되었습니다.
"빌드 프로젝트" 생성/수정 중 Docker Registry 프로바이더를 선택하면 인증서와 인증서 사용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기능이 추가됭었습니다.
팝업으로 오픈된 레이어를 움직일 수 있도록 수정하였습니다.
백업된 데이터로 복원시에 네임스페이스 선택 및 리소스 개별 선택 후 복원을 진행하면 PV가 복원되지 않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복원 대상이 아닌 리소스 목록이 화면에 노출되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간헐적으로 팝업 레이어 위로 메인 페이지의 Spinner가 노출되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필요한 바로가기 링크를 등록/수정/삭제 관리할 수 있으며, 등록된 링크를 클릭 선택하여 이동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스케쥴을 등록하고, 등록된 스케쥴에 맞춰 노드를 자동으로 확장하고 축소할 수 있습니다.
노드 사용율(CPU, Memory)에 대한 임계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값에 따라 자동으로 노드를 확장하고 축소할 수 있습니다.
칵테일에 설치된 로그 서비스 목록을 확인하고 관리 할 수 있습니다.
추가된 로그 서비스 관리 화면에서 Index Management 설정이 가능해 집니다.
로그 서비스의 접근 관련 옵션을 로그 서비스 관리 화면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단일 클러스터로 로그 서비스 에이전트를 설치할 때 내부 Kubernetes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옵션이 추가 되었습니다.
EKS (Elastic Kubernetes Service) 프로비저닝 기능 개선
EKS 구성 중 원하는 가용영역 (Availability Zone)을 선택하여 프로비저닝 할 수 있습니다.
노드 그룹 생성시 원하는 AMI 유형을 선택하여 프로비저닝할 수 있습니다.
노드 그룹 생성시 AMI 유형에 맞는 인스턴스 유형을 필터링 하여 보여주고 선택하여 프로비저닝 할 수 있습니다.
이제부터 Kubernetes 서비스의 ExternalName 유형도 GUI에서 설정을 지원합니다.
모니터링 알람 화면에 새로 고침 기능이 추가 되었습니다.
모니터링 이벤트 화면에 새로 고침 기능이 추가 되었습니다.
로깅 > 애플리케이션 관리에서 미사용 중인 컬럼(개발언어, 로그서비스)을 제거 하였습니다.
애드온 설치 화면에서 툴팁으로 Description 정보를 표시 하도록 개선하였습니다.
Ingress 수정시 IngressClass를 수정하여도 반영되지 않던 현상을 수정하였습니다.
서비스를 ExternalName 유형으로 생성시 목록에서 오류가 발생하던 현상을 수정하였습니다.
monitoring-db 파드 재 시작 시 Unhealthy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개선하였습니다.
다량의 모니터링 API 호출 시 DB와 connection 오류가 발생하던 오류를 개선하였습니다.
그 외 사용에 불편했던 여러 기능과 UI 디자인 및 사용성을 개선하였습니다.
이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Alarm을 생성하고 수신 채널을 선택하여 알림을 수신할 수 있습니다.
Alarm은 다음과 같이 3가지 유형으로 제공 됩니다.
Application Metric Alarm : 선택한 워크로드의 CPU / Memory 사용율을 기반으로 Alarm 설정
Kubernetes Event Alarm : Kubernetes 클러스터에서 생성되는 Event를 선택하여 Alarm 설정
Monitoring Rule Alarm : 애드온으로 제공되는 Prometheus Alert Manager로 구성된 모니터링 룰을 선택하여 Alarm 설정
생성된 Alarm은 원하는 수신채널을 통하여 알림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지원하는 수신채널은 아래와 같습니다.
Slack (Webhook)
Google Chat (Webhook)
General Webhook
Alarm 구성시 연속적인 Notification (Alarm의 노이즈 화) 방지를 위해 Alarm 억제 정책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Alarm 억제 정책에 따라 Alarm 최초 수신 이후 원하는 시간 만큼 Alarm 수신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발생된 Alarm은 발생 이력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발생 이력 화면에서는 알림 억제 정책에 따라 억제된 Alarm 까지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Alarm 발생 이력 화면에서는 각각의 수신 채널별로 알림이 전송된 이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생성된 Alarm은 목록에서 ON/OFF 설정으로 간단히 켜고 끌 수 있습니다.
기존의 "빌드 구성 > 컨테이너 레지스트리" 메뉴와 "빌드 구성 > 외부 컨테이너 레지스트리" 메뉴가 하나로 통합되어 "빌드 구성 > 컨테이너 레지스트리" 메뉴로 제공됩니다.
통합된 "컨테이너 레지스트리" 기능은 기존의 "외부 컨테이너 레지스트리" 기능과 동일하게 동작합니다.
컨테이너 레지스트리 통합은 이번 릴리즈와 함께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마이그레이션 되어 제공됩니다.
이번 변경으로 기존에 칵테일에서 강제로 생성하여 할당하던 imagePullSecrets 처리는 더 이상 사용 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목적에 맞게 imagePullSecrets을 바로 생성하여 워크로드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imagePullSecrets은 Kubernetes Secret 형태로 제공되는 인증 토큰이며, Private 레지스트리에 액세스하는 데 사용되는 Docker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있습니다. )
Private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이미지에 대한 접근이 필요한 경우 아래와 같이 구성하여 활용 할 수 있습니다.
Secret 생성시 DockerRegistry 유형을 선택하고, 사용할 레지스트리를 선택하면 간단히 생성 및 수정이 가능하며, 이를 워크로드의 imagePullSecret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TLS, Docker Registry 유형의 시크릿 정보 수정시, 시크릿 생성 기능과 동일하게 공인인증서 선택, 레지스트리 선택 기능이 제공됩니다.
Azure Blob Storage 구성등 특정 상황에서 간헐적으로 백업 서비스 응답이 실패하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로그서비스의 파일 다운로드 기능이 정상동작하지 않던 케이스가 수정되었습니다.
로그 서비스 설치 절차를 간소화 개선 하였습니다.
이제부터 API Gateway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칵테일에서 자동으로 주입하여 설치합니다.
API Gateway Token 정보 또한 칵테일에서 자동으로 생성하여 주입합니다.
로그를 수집하는 URL과 로그 API 서버에 연결하는 URL 정보를 단일화 하였습니다.
로그 서비스 구성시 Public Cloud의 Load Balancer 유형을 지원합니다.
서비스맵의 구성뷰 메뉴에서 워크로드의 상태에 따른 구분이 좀 더 세분화 되어 표시되도록 개선되었습니다.
이제부터 모니터링 현황 화면에서도 자동새로고침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KubeMemoryOvercommit과 KubeCPUOvercommit 알림 메시지의 내용이 수정되었습니다.
변경 전) 클러스터가 파드에 대한 메모리 리소스 요청을 1.375G바이트 초과 커밋했으며, 이로 인해 노드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변경 후) 파드 메모리 리소스 요청량이 남은 여유 공간 (노드 장애 시) 대비 1.375G바이트 초과 커밋 했으며, 이로 인해 노드 장애에 대응 할 수 없습니다.
모니터링 메뉴에서 표시되는 차트 전반에 칵테일 공통 UI 색상을 적용하였습니다.
클러스터 애드온의 상세 정보에서 인그레스를 올바르게 표시하지 못하던 증상이 수정되었습니다.
클러스터 상세화면의 탭메뉴 클릭 시 간헐적으로 링크가 올바르게 동작하지 않던 증상이 수정되었습니다.
워크로드의 모니터링 정보 중 컨테이너 메모리가 올바르게 표시되도록 수정되었습니다.
복원 이력 조회중에 간헐적으로 백업 서비스에서 응답을 받을 수 없던 증상이 수정되었습니다.
로그 서비스를 플랫폼에 설치하고 각 클러스터에 에이전트를 추가 하여 로그 정보를 수집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로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애드온이 추가 되었습니다.
로그 서비스 오퍼레이터 (cocktail-log-operator)
로그 서비스 (cocktail-log-service)
로그 서비스 에이전트 (cocktail-log-agent)
설치된 로그 서비스를 플랫폼에 사용 등록 하는 기능이 추가 되었습니다.
메뉴 : 설정 > 기본정보
로그 서비스는 클러스터 마다 설치 가능하지만, 플랫폼은 활성화된 로그 서비스를 한개 가질 수 있습니다.
애드온을 설치하고 플랫폼에 사용 등록을 완료하면 어플리케이션, 컨테이너, 클러스터 감사로그를 수집 할 수 있습니다.
수집된 로그를 모니터링 하는 화면이 추가 되었습니다.
메뉴 : 로깅 > 애플리케이션 로그
메뉴 : 로깅 > 컨테이너 로그
메뉴 : 로깅 > 클러스터 감사 로그
어플리케이션 로그 수집을 위해 인증 토큰 정보를 발급하는 기능이 추가 되었습니다.
메뉴 : 로깅 > 애플리케이션 관리
어플리케이션 로그 수집은 인증 토큰을 발급 받고, 각 워크로드에 수정 작업이 필요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가이드 문서를 참고하세요.
모니터링 > 워크로드 메뉴가 추가되었으며, 해당 메뉴에서 클러스터와 네임스페이스를 선택하여 전체 워크로드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워크로드별로 아래와 같은 내용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워크로드에서 요청한 파드 개수대로 실제 정상 실행 여부를 모니터링
CPU와 메모리 요청량 대비 사용량 모니터링
최근 1시간 동안의 평균 네트워크 트래픽 모니터링
개별 워크로로를 선택하면 실제 동작중인 워크로드 세부 정보로 드릴다운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합니다.
워크로드 상세 화면에 “모니터링” 탭이 추가되었으며, 해당 탭을 선택하여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워크로드 별로 기간을 설정하여 아래와 같이 세분화된 시계열 모니터링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드별로 구분된 CPU 메모리 사용량을 시계열 탐색할 수 있습니다.
파드별 네트워크 트래픽을 ingress/egress 별로 구분하여 시계열 탐색할 수 있습니다.
파드 내의 개별 컨테이너 단위로 CPU / 메모리 사용량을 시계열 탐색할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 단위의 CPU / 메모리 사용량을 요청량(Requests) 및 제한량(Limits)과 비교하여 시계열 탐색할 수 있습니다.
AWS 클라우드 프로바이더 설정 시 Assum Role을 사용하지 않은 IAM 인증이 추가로 지원됩니다
칵테일에서는 보안을 위해 Assume Role을 적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백업 현황 대시보드의 차트 UI가 개선되었으며, 자동으로 새로고침 할 수 있도록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칵테일 플랫폼 대시보드와 사용자 대시보드 UI가 개선 되었습니다.
차트 UI가 개선되었으며 상태에 따른 색상 표시가 칵테일 표준에 맞도록 개선되었습니다.
리소스의 개수가 0개일 경우 생성 및 사용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거나 생성을 가이드 하도록 개선 되었습니다.
실패한 파드와 대기중인 파드 클릭시 해당 파드만 필터링 하여 목록을 보여줄 수 있도록 개선되었습니다.
리소스 프로비저닝 행위 중 일부가 칵테일 감사로그에서 누락되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EKS와 NKS 클러스터 생성시 이름에 대한 유효성 검사 중 일부 사용할 수 있는 이름에 대해 중복으로 표시되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Naver Cloud Platform의 NKS 클러스터를 프로비저닝하고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프로비저닝 템플릿에 NKS 프로비저닝을 위한 템플릿이 추가 되었습니다.
NKS 클러스터를 프로비저닝 하고, Autoscaling이 가능한 노드 그룹을 프로비저닝 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NKS 클러스터 버전이 출시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업그레이드 할 수 있습니다.
NKS 클러스터 버전에 맞추어 노드 그룹 및 노드의 버전도 업그레이드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편의성 개선을 위한 UI/UX를 지속 개선 중이며, 아래 내용이 반영 되었습니다.
다크 테마 적용시 색상이 올바르게 보여지지 않던 여러 페이지가 개선되었습니다.
페이지를 접고 / 펼치는 UI의 가시성이 개선 되었습니다.
백업/복원의 리소스 목록을 조회하는 팝업 UI를 개선하였습니다.
백업/복원의 복원이력 상세화면에서 원본 백업이 삭제된 경우 사용자가 인지 가능하도록 UI를 개선하였습니다.
백업 생성시 리소스 조회시 데이터가 많아 요청 API에 지연이 발생할 경우 요청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시크릿 상세정보 화면에서 필요시 데이터 값을 On/Off 하는 기능이 추가되었으며, 클립보드로 값을 복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또한, 시크릿 편집시 기존 데이터를 조회하여 편집할 수 있도록 개선 되었습니다..
웹브라우저 클립보드 복사가 지원되지 않는 HTTP 환경에서는 API 토큰을 조회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습니다.
대시보드 화면에 자동 새로고침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엔터프라이즈 라이선스 사용자가 Platform Cluster를 칵테일에 등록하여 사용 시 마스터 노드의 코어는 비용에서 제외 됩니다.
빌드/파이프라인 > 빌드 기능에서 태그 및 빌드 내용이 0개일 경우 마지막 빌드 일시가 비정상적으로 표시되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모니터링 차트의 그래프가 간헐적으로 UI박스를 벗어나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웹터미널 화면을 오픈 하였을때 간헐적으로 툴팁이 터미널박스 위로 겹쳐 보이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2Factor 인증이 추가된 사용자의 경우 등록 후 최초 로그인하거나 비밀번호 변경 후 로그인시 QR코드 화면이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이제부터 워크로드에서 설정한 HPA (Horizontal Pod Autoscaler) 리소스를 [워크로드 > 오토스케일링] 메뉴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워크로드 상세 화며에서 파드의 로그 조회시, 이전 컨테이너의 로그를 확인하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이제부터 Quick Links 기능에서 아이콘을 설정할 때 파일 업로드를 지원 합니다.
인프라 > 네임스페이스 상세 화면에 개요 탭이 추가되어 네임스페이스의 전반적인 상태 확인이 가능 해 졌습니다.
네임스페이스 대시보드의 가시성이 개선되었습니다.
파드를 의미하는 육각 형태의 사이즈를 파드 크기에 맞도록 조절하도록 하였습니다.
파드의 상태 정보를 제외한 추가적인 요소들을 제거하여 파드 상태에 집중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습니다.
추가 정보는 네임스페이스별 상세 화면으로 이동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습니다.
네임스페이스별 상세 화면 이동이 인프라 > 네임스스페이스 "개요" 탭으로 이동됩니다.
이제부터 Conditions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드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모든 화면에서 Conditions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프라 > 노드 > 모니터링 탭에서 노드의 Conditions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디플로이먼트와 잡의 상세 정보 화면에서 Condition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부터 칵테일 외부에서 설정한 ResourceQuota와 LimitRange 설정을 조회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제부터 여러개의 ResourceQuota와 LimitRange를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백업 저장소 목록, 상세 페이지의 기능이 개선되었습니다.
이제부터 등록된 클러스터의 현황과 상태, 그리고 개별 에러 메시지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저장소의 유지관리 현황과 이력을 노출하고 로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백업 저장소에 등록된 일부 클러스터의 저장소 접속 상태가 [이용 불가]일 경우 (즉 접속이 불가능한 상태) 접속이 가능한 클러스터 정보로 동기화하여 복구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파이프라인에서 워크로드를 주가시 워크로드와 연결되어 있어 자동으로 추가되는 빌드의 경우 "실행" 체크박스의 기본 설정이 Checked로 변경되었습니다.
파이프라인 리소스 추가시 리소스명으로 필터링 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파이프라인 생성시 서비스맵을 선택하는 SelectBox에서 검색 기능을 지원합니다.
이제부터 워크로드 생성시 QoS 설정을 Best Effort 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리소스 요청량과 제한량 없이 배포)
대시보드에서 실패 / 대기 파드가 없을 경우 기존 [OK] 표시를 파드의 숫자 (0) 으로 표시되도록 변경하였습니다.
대시보드에서 이벤트 패널이 제거되었습니다. 이벤트는 모니터링 > 이벤트 메뉴에서 계속 확인이 가능합니다.
인증서 관리 메뉴가 개편되어 공인인증서 메뉴가 [설정 > 공인인증서] 로 이동되며, 나머지 메뉴(발급자 관리, 사설인증서)는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필수 입력항목의 Label에 "*" 표시로 필수 입력 항목임을 알 수 있도록 수정하였습니다.
자동 새로고침 기능을 제공하는 모든 화면에 자동 새로고침 동작에 대한 툴팁 설명이 추가되었습니다.
워크로드 상세 화면의 모니터링 탭에서 요청량, 제한량 스위치를 켜도 요청량, 제한량이 표시되지 않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이벤트 상세 검색과, API 실행로그 상세 검색 팝업 화면에서 날짜에 대한 초기화가 올바르게 동작되지 않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백업/복원의 복원지점 목록에서 삭제중인 복원 지점에 대한 강제 삭제 기능이 동작하지 않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이제부터 백업 생성 시 볼륨 데이터 백업 여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볼륨 데이터 백업을 원하지 않으면 옵션을 OFF 로 설정 하시면 됩니다.
Json 파일 다운로드로 제공되던 백업 / 복원중 발생한 경고 / 에러 메시지가 GUI 로 제공되도록 개선되었습니다.
여러 기능 목록에서 제공되는 필터들이 적합한 룰에 의해 유지되도록 개선 되었습니다.
3Depth 이하의 상세 메뉴에 대한 필터도 메뉴 해당 메뉴를 벗어나기 전까지 유지되도록 개선되었습니다.
모니터링 화면에서 네임스페이스, 노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에게 올바르게 표시되도록 개선 되었습니다.
대시보드의 이벤트 / 알람 발생 시간을 경과시간과 발생시간이 함께 표시되도록 변경하였습니다.
클러스터별 리소스를 조회하는 여러 페이지에서 Running중이 아닌 클러스터는 보여지지 않도록 변경되었습니다.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페이지에서는 모두 로딩바를 표시하지 않도록 변경되었습니다.
실시간 갱신 이벤트가 많을 경우 잦은 로딩바 노출로 사용성이 저하되던 문제 해결
메뉴가 펼쳐진 상태에서 다른 메뉴로 이동시 불규칙적으로 메뉴가 닫히던 증상이 수정되었습니다.
이벤트 목록의 "내용" 컬럼이 길어질 경우 비정상 적으로 표시되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레이블, 어노테이션의 내용이 길어질 경우 레이아웃을 벗어나서 표시되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칵테일 관리자 화면에서 클러스터 삭제시 특정 조건에서 동작되지 않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워크로드 배포시 GPU 리소스 명을 변경하여 배포하였음에도 기존 GPU 리소스명이 유지되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워크스페이스 사용자로 터미널 접속시 간헐적으로 오류가 발생하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이제부터 워크로드 목록에서 바로 YAML 파일을 편집하여 수정 배포할 수 있습니다.
메뉴 탐색중 하위메뉴로 진입시 일부 미 지원되었던 네비게이션 바가 이제부터 전체 메뉴를 지원합니다.
대시보드의 이벤트 목록이 중요도가 높은 Warning 이벤트만 노출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애플리케이션 > 서비스맵의 워크로드를 중지/시작/재시작 시 사용자 확인 후 동작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노드 상세 정보에서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를 아이콘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니터링 애드온에서 수집하는 알람 중 아래 2개 알람이 비활성화 되었습니다. 기존에 모니터링 서비스 설치하여 사용중인 사용자가 해당 내용을 반영하려면 애드온을 업데이트 하셔야 합니다.
etcHighFsyncDurations
etcHighCommitDurations
인프라 > 노드 목록 진입시 클러스터 단위로 묶어서 보여지도록 변경되었습니다.
이제부터 MIG 모드와 Time Slicing 모드의 GPU 노드에 대한 사용량 정보를 모두 제공합니다. 해당 내용은 인프라 > 노드 목록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빌드 구성 > 빌드 서버 목록 조회시 간헐적으로 발생하던 오류를 수정하였습니다.
클러스터에 생성되어 있는 모든 리소스 유형은 물론, 데이터에 대한 백업 또한 지원합니다.
백업 수행시 네임스페이스, 리소스 유형 (e.g. Deployment, Statefulset, ...), 레이블 셀렉터 등을 이용하여 대상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백업에 스케쥴을 적용하여 원하는 시간에 정기적으로 백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백업 데이터 보관을 위한 다양한 프로바이더를 지원합니다.
AWS S3
Azure Blob Storage
Google Storage
MinIO
백업된 데이터에 보관기간을 설정하여,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데이터를 자동으로 삭제할 수 있습니다.
백업된 데이터를 지정된 대상 클러스터에 복원할 수 있습니다. (한 번에 하나의 클러스터만 대상으로 복원이 진행됩니다.)
백업 / 복원 기능 수행 시 진행상태 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e.g. 진행률, 로그, 에러)
백업에 대한 대시보드 서비스를 제공하여 백업 및 복원에 대한 현황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AWS EKS (Elastic Kubernetes Service)에 대한 프로비저닝을 지원합니다.
EKS 클러스터를 프로비저닝 후 추가로 생성 및 관리 가능한 리소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노드 그룹 설치 관리
EBS CSI Driver 설치 관리
Cluster Autoscaler 설치 관리
칵테일 서비스 대시보드를 통해 칵테일 서비스 현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플랫폼 대시보드
Workspaces, Namespaces, Pipelines, Builds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luster, Nodes, Pods, Failed Pods, Pending pods의 상태 및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클러스터에서 발생하는 Events 및 Alarms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워크스페이스 대시보드
ServiceMaps, Workloads, Pipelines, Builds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luster, Nodes, Pods, Failed Pods, Pending pods의 상태 및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이프라인 마지막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워크스페이스에 속한 서비스맵에서 발생하는 Events 및 Alarms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지원되는 외부 레지스트리 프로바이더가 늘어났습니다.
AWS Elastic Container Registry (ECR)
Azure Container Registry (ACR)
Google Container Registry (GCR)
Docker Hub
Docker Registry
Quay
칵테일 GUI에서 아래의 리소스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어카운트
클러스터 롤
클러스터 롤 바인딩
롤
롤 바인딩
NVIDIA GPU 장비 자원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GPU 공유 방식은 Time Slicing과 Multi Instance GPU (MIG) 2가지 방법을 지원을 합니다.
Time Slicing을 이용하면 물리적 GPU를 Round-Robin 스케쥴러 방식으로 공유하여 Bursting이 필요한 워크로드들이 GPU 리소스의 낭비없이 활용 가능합니다.
MIG (Multi Instance GPU)를 이용하면 1개의 물리적 GPU를 최대 7개의 Instance로 분할하여 적은 양의 고정된 GPU가 필요한 경우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GPU가 설치된 노드가 있다면, 서비스맵에서 워크로드를 생성 시 GPU자원을 할당 할 수 있습니다.
GPU 사용량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대시보드에 GPU 모니터링 기능이 추가 되었습니다.
GPU사용률, 메모리 사용량, GPU 온도, GPU 전력사용량, GPU Tensor
GPU가 설치된 노드의 상세 정보에서 노드의 GPU 사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Tab이 추가되었습니다.
이벤트 메뉴가 추가되어 Kubernetes Event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기능을 통하여 클러스터에서 발생한 모든 이벤트 이력이 수집되어 조회할 수 있습니다.
실시간 메트릭 데이터 조회 기능이 추가되어 모니터링 애드온 설치 없이 기본적인 메트릭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새롭게 생성되는 데이터에 대해 동기화 하고 데이터를 캐싱하여 대용량의 데이터 조회시에도 성능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많은 리소스가 배포된 멀티 클러스터에서도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조회하고, 준 실시간으로 변경된 내용을 UI까지 업데이트 하여 보여주게 되었습니다.
새로운 메뉴 형태로 UX를 변경하여 칵테일에서 제공되는 많은 기능들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였습니다.
서비스맵 화면에서 Network 실시간 메트릭이 제거 되어 더이상 확인 할 수 없습니다.
간헐적으로 빌드 로그가 중복으로 노출되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간헐적으로 종료된 알람이 남아있는 현상을 수정하였습니다.
Ingress 메트릭이 정상적으로 필터링되도록 수정하였습니다.
모니터링 화면에서 일부 모니터링 정보가 표시되지 않던 현상을 수정하였습니다.
파이프라인에 빌드 리소스 추가에 대한 감사 로그에서 리소스의 이름이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여러 기능 목록에서 제공되는 필터들이 적합한 룰에 의해 유지되도록 개선되었습니다.
클러스터를 선택하는 필터는 서비스 전역에서 설정한 내용이 유지됩니다.
각 리스트의 필터들은 사용자가 이용중인 "대 메뉴"를 이탈하기 전까지 유지됩니다.
Secret 리소스의 value를 조회하고, 클립보드로 복사하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백업 (velero) 애드온 설치시에 타임존을 설정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습니다 (Default : Asia/Seoul)
사용중인 클러스터 등록 시 "Rovius" 프로바이더를 더이상 지원하지 않습니다.
사용중인 클러스터 등록 시 "Datacenter" 프로바이더가 "On-premise"와 통합되었습니다.
인프라 > 노드 > 파드 화면에서 실시간 갱신 이벤트 발생 시 마다 로딩바가 노출되던 문제를 개선하였습니다.
실시간 갱신 이벤트가 많을 경우 로딩바의 노출 없이 보여지는 내용만 수정되도록 개선.
백업 상세 화면에서 에러 로그에 대한 Link가 제공되지 않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프로비저닝된 클러스터의 노드 그룹 작성 시 원하는 노드 개수를 최소크기로만 선택 가능했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최소 노드 개수 <= 원하는 노드 개수 <= 최대 노드 개수
워크스페이스가 존재하지 않을 때 웹 터미널 접속이 불가능 했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특정 조건에서 설정 > 기본정보 화면의 특정 필드 데이터가 보여지지 않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모니터링 > 노드 모니터링 화면에서 연결된 노드가 0개일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화면이 표시되도록 수정되었습니다.
파이프라인 생성 후 네비게이션 바가 비정상 동작하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AWS EKS 클러스터 삭제시 간헐적으로 삭제가 되지 않던 증상이 수정되었습니다. ( only)
칵테일 Metric Server 애드온 3.12.1 버전이 추가 되었습니다.
칵테일 엔터프라이즈 라이선스 정책이 변경 되었습니다.
플랫폼의 이벤트 데이터는 1년간 저장/제공되며, 서비스 정책에 따라 공지 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의 경우 이벤트 데이터는 고객사에 맞도록 커스터마이징 가능합니다.
AWS S3(Simple Storage Service) Bucket을 프로비저닝 할 수 있습니다.
프로비저닝 기능이 계속 확장됨에 따라 기존 기능이 분리되어 독립적인 메뉴로 재편되었습니다.
메뉴가 신규로 구성되었으며, 아래와 같은 하위 메뉴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클라우드 프로바이더 : 클라우드 프로바이더에 대한 인증 정보를 구성/관리할 수 있습니다.
템플릿 : 칵테일에서 프로비저닝 가능한 리소스를 탐색 및 프로비저닝 가능합니다.
리소스 : 칵테일에서 프로비저닝된 리소스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워크로드 > 파드 목록에서도 웹 터미널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워크로드에 대한 상세 화면에서 컨테이너에 대한 웹 터미널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칵테일에서 제공하는 카탈로그를 클러스터에 배포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정의 Values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Values 정보만 별도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카탈로그 배포시 기존 배포 Values YamL 파일 이외에 추가로 사용자정의 Values를 지원합니다.
“사용자 정의 values”를 설정하면 "사용자 정의 values"에 우선순위가 부여됩니다. 예를 들어 "배포 values"와 "사용자 정의 values"에 모두 "Test"라는 키가 포함된 경우 "사용자 정의 values"에 설정된 값이 우선 적용됩니다.
카탈로그 배포시 Dry-run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Dry-run을 이용하여 배포 결과를 사전에 확인하고 검토할 수 있습니다.
카탈로그 롤백시 보여주던 Revision 정보를 확장하여 편의성을 개선하였습니다.
리비전이 생성된 시간등 추가 정보를 통하여 선택에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칵테일 감사로그 조회시 조회기간을 더 길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3일 -> 90일)
백업 저장소가 삭제되었을 경우에도 스케쥴이 화면에 노출될 수 있도록 개선하였습니다.
외부에서 생성한 백업 저장소도 칵테일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습니다.
모니터링 이벤트 조회 조건이 기존 15분 -> 60분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스토리지의 가용량을 실시간 데이터로 표시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습니다.
기존에 "서비스 노출" 로 표기되던 Kubernetes의 Service 리소스에 대한 표기가 이제부터 "서비스" 로 표시됩니다.
파이프라인에서 워크로드 추가 시 간헐적으로 YAML 형식 오류가 발생되던 문제가 수정되었습니다.
플랫폼 설정에서 클러스터 등록 설정에 따라 수정 / 삭제 기능이 간헐적으로 누락되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스냅샷 저장 후 간헐적으로 리소스 목록이 비정상 조회되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스냅샷 배포시 Configmap / Secret을 편집 할 수 없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백업 에이전트가 설치되지 않은 클러스터가 여러개일 경우 서버의 응답이 느려지던 문제를 개선하였습니다.
저장소의 상세 화면에서 퍼시스턴트 볼륨과 퍼시스턴트 볼륨 클레임으 링크가 올바르게 동작하지 않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자동 새로 고침 기능이 간헐적으로 동작하지 않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이제부터 선택한 클러스터 볼륨을 다른 볼륨으로 복제할 수 있습니다.
볼륨 복제는 1:1 직접 복제와 중간 저장소를 이용하는 1:N 복제를 모두 지원 합니다.
1:N 복제 지원을 위해 “저장소” 메뉴에서 “볼륨 복제” 용도로 저장소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저장소는 MinIO, AWS S3, Azure Blob Storage, Google Cloud Storage를 지원합니다.
복제는 생성후 즉시 실행하고, 언제든지 다시 실행하여 복제할 수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복제 스케쥴을 설정하여 지정된 시간에 복제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동일한 복제를 반복 실행 시 (스케쥴 포함) 복제 결과는 항상 최종 복제 결과로 덮어씌워집니다.
복제 시 원본 볼륨에서의 “복사 방법”은 아래와 같이 다이렉트, 복제, 스냅샷 3가지 유형을 지원합니다.
다이렉트 : 선택한 볼륨에서 직접 복사를 수행합니다.
복제 : 선택한 볼륨의 복제본(사본 볼륨)을 만들어서 복사를 수행하며 복사가 완료되면 사본 볼륨은 삭제 됩니다.
스냅샷 : Kubernetes의 volume snapshot을 이용한 복제 방식으로 복제가 완료되면 snapshot 볼륨은 삭제 됩니다.
볼륨 복제가 완료되면 옵션에 따라 볼륨 스냅샷 (Kubernetes volume snapshot)을 추가로 생성하여 보관할 수 있습니다.
istio 애드온 구성 시 Advanced Settings 설정을 이용하여 Ambient Mode 구성을 추가로 지원합니다.
Ambient Mode 설치를 위해 필요한 ztunnel (Zero Trust tunnel) 애드온이 추가 되었습니다. ( Ambient Mode로 Istio 애드온을 구성하려면 사전에 ztunnel 애드온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경보/알림 > 메트릭 알람설정과 발생 이력 화면에서 대상 워크로드를 클릭하면 해당 워크로드의 모니터링 화면으로 이동됩니다. 이를 활용하여 경보 감지시 즉시 워크로드의 상태 확인이 가능합니다.
경보/알림의 발생 이력 페이지를 개선하였습니다.
발생이력 화면에서 발생 알람 상세정보 팝업 화면을 오픈하여 알람의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메트릭 알람 이력 화면에서 알람 발생당시의 메트릭 측정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니터링 > GPU 모니터링 화면의 사용성과 가시성이 개선되었습니다.
시계열 차트를 팝업 오픈하여 확대 / 축소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습니다.
시계열 차트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모니터링 애드온 설치 없이 워크로드 상세 화면의 모니터링 탭에 접근할 경우 설치 안내 화면이 추가되었습니다.
배포된 카탈로그 목록 조회가 특정 조건에서 실패하는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카탈로그 배포 후 간헐적으로 화면 전환이 되지 않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