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맵 만들기
Last updated
Last updated
앞에서 플랫폼에 로그인할 수 있는 사용자를 생성하였습니다. 이제 워크스페이스에 등록할 서비스 맵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1) [애플리케이션] - [서비스 맵] 탭에서 우측 상단의 "+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클러스터*
서비스 맵을 등록할 클러스터를 선택
네임스페이스*
(택1)
신규 네임스페이스로 서비스 맵을 생성할지, 기존 네임스페이스를 활용할지 선택
서비스 맵 명*
생성할 서비스 맵 이름을 작성
보통 네임스페이스와 동일하게 작성
네임스페이스*
신규 네임스페이스 선택 시, "네임스페이스"란을 작성할 수 있음 기존 네임스페이스 선택 시, 현재 클러스터에 생성되어 있는 네임스페이스를 목록으로 선택
네트워크 정책*
인그레스/이그레스 트래픽 허용/차단 여부를 선택 권고 설정은 "모든 인그레스/이그레스 트래픽 허용"을 선택
자원 할당 사용
체크 시, 해당 서비스 맵의 자원 사용량을 제한
Container Limit Range 설정 사용
체크 시, 서비스 맵에서 배포되는 컨테이너의 자원 사용량을 제한
Pod Limit Range 설정 사용
체크 시, 서비스 맵에서 배포되는 Pod의 자원 사용량을 제한
Storage Limit Range 설정 사용
체크 시, 서비스 맵에서 요청하는 Volume의 자원 사용량을 제한
항목을 모두 작성 후, "저장" 버튼 선택하여 서비스 맵을 생성합니다.
1) 서비스 맵 목록 화면에서 생성된 서비스 맵을 확인합니다.
다음은 워크스페이스 등록에 필요한 이미지 레지스트리 생성 과정에 대해 설명합니다. "레지스트리 만들기" 페이지로 이동하세요.